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역사7

경희궁 내 건축물의 역사와 구조 2 이번에는 경희궁 내 건축물인 자정전과 태령전에 대해 알아보겠다. 자정전은 경희궁의 편전이다. 편전은 임금이 신하들과 함께 정무를 보고 나랏일을 의논하는 곳이다. 경희궁 정전 숭정전의 바로 북쪽 뒤편에 있다. '자정(資政)' 뜻은 '정사(政)를 돕는다(資)'이다. 그리고 태령전은 경희궁에 있는 어진 봉안소, 즉 진전(眞殿)이다. 자정전의 서쪽에 있다. 정조는 《경희궁지》에서 태령전을 “자정전 서쪽에 있으며 임금님의 어진을 봉안하는 곳이다.”라고 소개했다. 경희궁 내 건축물 자정전의 역사와 구조 자정전의 역사 : 1620년(광해군 12년) 경희궁 창건 때 지었다. 편전으로 처음 사용한 시기는 1624년(인조 2년)부터이다. 창덕궁과 창경궁이 불타자 인조가 경희궁을 사용하면서 그때 비로소 제 기능을 하기 시작.. 2023. 8. 18.
덕수궁 내 내조 영역 건축물의 역사와 구조[2-3] 이번 글에서는 저번에 작성했던 덕수궁 내조 영역 내 건축물 중 남은 두 건축물인 함녕전과 정관헌의 역사와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덕수궁 함녕전(德壽宮 咸寧殿)은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 덕수궁에 있는 고종황제가 거처하던 침전이다. 1897년에 지어졌으며, 1904년 함녕전에서 시작된 덕수궁 대화재로 소실되었고 1906년에 재건되었다. 1985년에 대한민국의 보물 제820호로 지정되었다. ‘함녕(咸寧)’ 뜻은 ‘모두(咸)가 평안하다(寧)’이다. 《주역(周易) - '건(乾)' 괘 단사(彖辭)》에 나오는 “만물에서 으뜸으로 나오니, 만국이 모두 평안하다”라는 구절에서 따왔다. 열강이 각축하던 시절에 국가 간에 평화롭길 바라는 마음을 담은 듯 하다. 정관헌은 대한제국의 황궁이었던 경운궁에 있는 건축물로서, 전.. 2023. 6. 24.
창덕궁 구 선원전 권역 과 신 선원전 권역 내 건축의 역사와 구조 창덕궁 선원전(昌德宮 璿源殿)은 서울시 종로, 창덕궁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다. 1985년 1월 8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817호로 지정되었다. 선원전은 조선시대 역대 임금의 초상을 봉안하고 제사를 지내는 건물로 궁궐 밖으로는 종묘를 두었고, 궁 안에는 선원전을 두었다고 한다. 원래 춘휘전이란 건물로 조선 효종 7년(1656) 경덕궁의 경화당을 옮겨지은 것으로, 숙종 21년(1695)에 선원전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이곳에는 숙종·영조·정조·순조·익종·헌종의 초상을 모시고 있다. 1921년 창덕궁 후원 서북쪽에 선원전을 새로 지어 왕의 초상을 옮긴 뒤부터 구선원전으로 불리게 되었다. 새로 지은 선원전에 옮긴 왕의 초상은 1950년 한국전쟁 당시 화재로 소실되어 아쉬움을 더 한다. 구조적으로 간결하고 불필.. 2023. 6. 5.
창덕궁 낙선재 권역 내 건축물의 의미와 역사 및 구조 창덕궁 내 낙선재 권역 건축물에 대해 알아보겠다. 낙선재 권역은 낙선재를 중심을 지어진 건물들을 지칭한다. 낙선재 권역에 속한 건축물로는 낙선재, 석복헌, 수강재, 상량정, 한정당, 취운정이 있다. 건축물 이름의 의미와 역사 구조등에 대해 알아보겠다. 낙선재의 의미와 역사 및 구조 낙선재(樂善齋)는 1847년에 헌종의 서재 겸 휴식을 취하는 공간으로 지어진 창덕궁의 건물이다. 본래 이름은 낙선당이었으며, 창경궁에 속해 있었다. 정면 6칸, 측면 2칸의 단층 건물이다. 2012년 3월 2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759호로 지정되었다. 고종 황제도 이곳에서 지낸 바 있으며, 1917년 창덕궁에 큰 불이 났을 때 순종 황제도 내전 대신 낙선재에 머물렀다. 이곳은 황족들이 마지막을 보낸 곳으로 유명하다. 마지막 .. 2023. 6. 4.
창덕궁 후원 관람정 권역과 그 외 구역 건축물 창덕궁 후원의 관람정 권역은 관람지와 관람정 주변에 있는 건축물이 포함되어 있다. 그 외 구역 건축물은 어느 권역에 속해있지 않은 건축물들이다. 이번 글에는 그 건축물들에 대해 소개한다. 창덕궁 후원 내 관람정 권역의 건축물 관람정 : '관람(觀纜)' 뜻은 '뱃놀이(纜)를 바라본다(觀)'는 이다. 원래 '람(纜)'은 닻줄이란 뜻인데, 여기서는 뱃놀이란 의미로 썼다. 언제 지었는지 모른다. 1828년 ~ 1830년 사이에 그린 《동궐도》에는 안보이고 헌종 때 제작한 《궁궐지》에도 관련 기록 이 없는데, 1907년(융희 원년) ~ 1908년(융희 2년)에 만든 《동궐도형》에는 보인다. 그래서 고종 때 후원을 정비할 때인 1903년(광무 7년) 경 아니면 순종이 창덕궁으로 거처를 옮긴 1907년(융희 원년) .. 2023. 6. 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