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47 여름 별미 한국 음식 빙수와 콩국수 이번 글에서는 여름 별미 중 빙수와 콩국수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한국에서는 여름에 더 많이 찾는 음식들이 있다. 그 종류에는 냉면/비빔냉면, 초계국수, 삼계탕, 냉모밀, 물회, 콩국수, 추어탕 그리고 빙수류가 있다. 냉면은 사실 겨울에 먹던 음식이지만 현대에 와서는 더운 여름에 시원한 음식을 찾게 되어 여름에 더 많이 찾는 음식으로 바뀌었다. 초계국수는 탕으로도 만들어 밥과 함께 먹기도 하지만 주로 국수를 넣어 초계국수로 먹는 편이다. 삼계탕과 추어탕은 보양 음식으로 더운 여름에 기력을 회복하라도 많이 찾는 음식이고 냉모밀은 시원하게 먹기 위해 주로 여름에만 판매하는 곳이 많은 음식이다. 마지막으로 빙수는 디저트이지만 얼음을 이용한 까닭에 여름에만 주로 판매하는 음식이다. 물론 겨울에도 먹을 수는 있지만.. 2023. 6. 25. 덕수궁 내 내조 영역 건축물의 역사와 구조[2-3] 이번 글에서는 저번에 작성했던 덕수궁 내조 영역 내 건축물 중 남은 두 건축물인 함녕전과 정관헌의 역사와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덕수궁 함녕전(德壽宮 咸寧殿)은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 덕수궁에 있는 고종황제가 거처하던 침전이다. 1897년에 지어졌으며, 1904년 함녕전에서 시작된 덕수궁 대화재로 소실되었고 1906년에 재건되었다. 1985년에 대한민국의 보물 제820호로 지정되었다. ‘함녕(咸寧)’ 뜻은 ‘모두(咸)가 평안하다(寧)’이다. 《주역(周易) - '건(乾)' 괘 단사(彖辭)》에 나오는 “만물에서 으뜸으로 나오니, 만국이 모두 평안하다”라는 구절에서 따왔다. 열강이 각축하던 시절에 국가 간에 평화롭길 바라는 마음을 담은 듯 하다. 정관헌은 대한제국의 황궁이었던 경운궁에 있는 건축물로서, 전.. 2023. 6. 24. 한국 음식 짜장면과 짬뽕의 유래와 종류 이번 글에서는 한국 대표 중화요리인 짜장면과 짬뽕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짜장면(-醬麵) 또는 자장면(-醬麵)은 양파, 양배추 등 채소와 돼지고기에 기름으로 튀긴 춘장을 넣어 굵은 국수에 비벼서 먹는 한국식 중국 요리로, 짬뽕, 우동하고 더불어 트로이카 메뉴로 꼽힌다. 짜장면은 중국의 자장몐이 한국식으로 변형된 것이다. 산동 요리를 기반으로 하는 대부분 한국식 중국 요리처럼 그 대표격인 짜장면은 인천이 시발점이다. 하지만 중국의 자장몐과는 완전 다른 맛을 자랑한다. 짬뽕은 해산물 혹은 고기를 비롯한 다양한 채소를 기름에 볶고 난 후, 닭뼈나 돼지뼈로 만든 육수(肉水)를 넣어 끓이고 삶은 국수를 넣어 먹는 한국식 중국 요리이다. 짜장면, 우동하고 트로이카를 이루는 중국집의 단골 메뉴로, 20세기 초부터 대한.. 2023. 6. 23. 한국 음식 만두의 역사와 종류 만두(饅頭)는 밀가루 등을 반죽하여 얇게 민 만두피에 채소와 고기 등의 여러 가지 소를 넣어 빚은 한국의 전통 요리이다. 굽거나 찌는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조리할 수 있다. 한반도 내 지역마다 여러 가지 만두가 있다. 과거에는 궁중 요리 중 하나이기도 했으나, 이제 슈퍼마켓이나 음식점, 분식집, 포장마차에서, 또는 길거리 음식으로 흔히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만두라고 부르는 것은 중국이나 일본에선 교자(餃子)라고 부르며 만두(饅頭)와는 구별된다. 그리고 밀가루피에 소를 넣으면 거의 다 만두라고 부르는 한국과 달리 중국이나 일본에선 좀 더 세분화해서 분류하는 편이다. 좁은 의미가 아닌, 넓은 의미의 만두는 한 가지로 정의 내리기 힘들다. 만두의 문화를 공유하는 동북아시아부터, 동남아시아, 중앙아.. 2023. 6. 22. 덕수궁 내 내조 영역의 건축물의 역사와 구조[2-2] 저번글에 이어 이번에도 덕수궁 내 내조 영역에 있는 건축물 중 석어당과 덕홍전에 대해 알아보겠다. 석어당(昔御堂)이라는 명칭은 ‘옛 왕이 머물던 집’이라는 뜻이다. 임진왜란으로 서울을 떠났던 선조가 1593년(선조 26)에 한양으로 돌아왔을 때 궁궐의 대부분이 소실되어 정릉동에 있는 행궁에서 머물던 전각이라는 의미로 붙여진 이름이다. 현재 덕수궁 석어당의 1층에는 고종의 어필 현판이 걸려 있으며, 2층에는 1904년(광무 8)에 중건할 때 김성근(金聲根)이 쓴 현판이 걸려 있다. 덕홍전은 원래 명성황후(明成皇后)의 혼전인 경효전(景孝殿)으로 건립되었으나, 1912년에 고종황제의 알현실로 개조된 이후 덕홍전이라는 현판을 달았다. 덕홍전으로 교체된 이후 고종은 이곳에서 외빈과 신료들을 접견하였다. 덕홍전은 .. 2023. 6. 21. 이전 1 ··· 38 39 40 41 42 43 44 ··· 50 다음 728x90 반응형